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용어2

[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가계수지 가계수지 (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하여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하는 것. '가계수지'에서 '수지'(收支) (Balance)는 수입과 지출을 의미하며 양수일 경우 흑자를 음수일 경우 적자를 의미한다. 가계수지 = 가계수입 - 가계지출 소득항목 -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비용항목 - 식료품비, 주거비, 수도광열비, 보건의료비, 교육비 가계수지 통계의 작성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가계부를 나누어 주고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하여 발표. 2023. 9. 25.
[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가계부실 위험지수(HDRI) 가계부실 위험지수(HDRI) 가구의 소득흐름, 금융 및 실물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가계부실 위험지수는 가계채무상환능력을 소득측면(원리금상환비율(DSR)) 자산측면(부채/자산비율(DTA)) 를 결합하여 산출한 값 HDRI = { 1 + (DSR-40%) } × [ { 1 + (DTA-100%) } × 100%] HDRI 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가구이며, 위험가구는 소득, 자산 측면에서 - 고위험가구 - 고DTA가구 - 고DSR가구 로 분류한다. 고위험가구 고DTA가구 고DSR가구 소득 취약 - 취약 자산 취약 취약 - ※ 위험, 고위험가구는 가구의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가구의 채무상환불이행(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02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