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용어4

[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가계신용통계 가계신용통계 가계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규모를 나타내는 통계 가계신용은 금융기관, 정부, 판매회사 등 기타기관이 가계에 제공한 대출과 외상구매 관련 신용을 포괄하는 것으로 크게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분 현재 가계신용통계는 2002년 말 잔액부터 분기별로 제공되며, 가계부문의 부채 규모 및 변동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 ° 가계신용 일반가정이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거나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한 대금 등을 합한 금액으로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성 - 가계대출: 순수가계에 대한 금융기관 대출 포괄 (* 금융기관 : 예금은행,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상호금융,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은행신탁, 우체국예금, 보험기관, 신용카드사, 할부금융사, 국민주택기금,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대출, 현금서비스 및 .. 2023. 10. 5.
[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가계순저축률 가계순저축률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 가계순저축률(%) = { 가계부문순저축 / (가계순처분가능소득 + 사회적현물이전수취 + 연금기금의가계순지분증감조정 ) } × 100 □ 가계순처분가능소득 - 가계가 맘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 □ 사회적현물이전수취 -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 예)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진료, 공공임대주택을 통한 주거지원 □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증감조정 -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과 연금수취액의 차액 가계순저축률의 의미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알려주는 지표로써 활용된다. 2023. 9. 26.
[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가계수지 가계수지 (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하여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하는 것. '가계수지'에서 '수지'(收支) (Balance)는 수입과 지출을 의미하며 양수일 경우 흑자를 음수일 경우 적자를 의미한다. 가계수지 = 가계수입 - 가계지출 소득항목 -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비용항목 - 식료품비, 주거비, 수도광열비, 보건의료비, 교육비 가계수지 통계의 작성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가계부를 나누어 주고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하여 발표. 2023. 9. 25.
[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가계부실 위험지수(HDRI) 가계부실 위험지수(HDRI) 가구의 소득흐름, 금융 및 실물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가계부실 위험지수는 가계채무상환능력을 소득측면(원리금상환비율(DSR)) 자산측면(부채/자산비율(DTA)) 를 결합하여 산출한 값 HDRI = { 1 + (DSR-40%) } × [ { 1 + (DTA-100%) } × 100%] HDRI 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가구이며, 위험가구는 소득, 자산 측면에서 - 고위험가구 - 고DTA가구 - 고DSR가구 로 분류한다. 고위험가구 고DTA가구 고DSR가구 소득 취약 - 취약 자산 취약 취약 - ※ 위험, 고위험가구는 가구의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가구의 채무상환불이행(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023. 9. 24.